728x90
IPO 공모주 상장일 가격 변동폭 60%에서 400%까지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허수성 청약 등 관행 개선 검토초안
1. 수요예측 내실화
2. 허수성 청약 방지
3. 공모주 주가 안정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1. 수요예측 내실화
- 증권 신고서 제출 전 사전 수요 조사 허용
- 기관 수요예측 기간 연장 (예: 2일 → 7일)
2. 허수성 청약 방지
- 주관사가 기관 주금납입 능력 확인 후 배정
- 공모가 미기재 수요 예측 기관은 공모주 배정 불가
3. 공모주 주가 급등락 방지
-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물량 분산 배정
- 상장 당일 가격변동폭 확대 (60~400%)
- IPO 단기 차익거래 추정 시스템 구축 검토
목표 | 개선 내용 | 비고 |
수요예측 내실화 | 증권신고서 제출 전 기관대상 투자수요 조사 | 공모가 뻥튀기 방지에 도움이 될 듯 |
수요예측 기간 연장 | 의미 있나? 보통 2일차 오후에 집중됨 |
|
허수성 청약 방지 | 주관사 자율로 기관별 주금납입능력 판단기준 설정 허수성 청약시 배저물량 축소 등 패널티 부여 공모가 미기재 기관에 공모주 미배정 |
현재도 하고 있는 내용 |
공모주 주가 안정 | 시초가: 공모가의 60%~400% | 공모 투자자 입장에서 과연 좋은 것인지? |
IPO Tracking System 도입 검토 | 구축 가능할까? 기관참여 저조로 인한 IPO 시장 위축 우려 |
공모가 가격제한폭 60~400%
6월 26일 부터 바뀌는 부분은 우선 신규상장되는 종목의 시초가입니다. 시초가(기준가)는 공모가 그대로 결정이 됩니다. 그리고 가격 제한 폭이 공모가의 60%~400%로 확대되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공모가가 1만 원인 종목이 상장하는 날 시초가는 그대로 1만 원에서 시작하여 따따블을 기록하면 공모가의 400% 상승으로 4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즉 상장당일 상한가는 400% 상승인 4만 원이 됩니다. 따따블이란 영어 'double double' (따블따블)에서 가져온 말로 시초가 100%에서 더블이면 200%, 거기에 또 더블이면 400%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공모주가 상장당일 무조건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 시초가보다 떨어진 마이너스로 장을 마감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공모가의 60%로 하한가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1만 원의 공모가에서 하한가로 장을 마감하면 6천 원이니 약 4천 원의 손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상장 당일 가격 변동폭 예시: 가격제한폭: 60~400%
- 공모가: 20,000원
- 시초가: 20,000원
- 하한가: 12,000원
- 상한가(따따블): 80,000원 (따따블이란: 4배(400%)의 수익률을 말함)
728x90
'공모천사의 세상돋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10월 CPI 발표 미국 3대 지수 폭등, 국채금리 급락,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 (0) | 2023.11.15 |
---|---|
13월의 보너스! 2023년 연말정산 개정세법 (0) | 2023.11.13 |
스팩주 개념 장단점 스팩주 투자 방법 (1) | 2023.11.12 |
공매도 전면 금지에 따른 공매도 금지 수혜주는? (0) | 2023.11.06 |
내년 상반기까지 코스피 코스닥 전 종목 공매도 금지 (0) | 202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