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모천사
공모천사의 세상돋보기

IPO 공모주 상장일 가격 변동폭 60%에서 400%까지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by 공모천사 2023. 11. 12.
728x90

IPO 공모주 상장일 가격 변동폭 60%에서 400%까지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허수성 청약 등 관행 개선 검토초안

1. 수요예측 내실화

2. 허수성 청약 방지

3. 공모주 주가 안정

 

IPO 공모주 상장일 가격 변동폭 60%에서 400%까지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1. 수요예측 내실화

  • 증권 신고서 제출 전 사전 수요 조사 허용
  • 기관 수요예측 기간 연장 (예: 2일 → 7일)

2. 허수성 청약 방지

  • 주관사가 기관 주금납입 능력 확인 후 배정
  • 공모가 미기재 수요 예측 기관은 공모주 배정 불가

3. 공모주 주가 급등락 방지

  •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물량 분산 배정
  • 상장 당일 가격변동폭 확대 (60~400%)
  • IPO 단기 차익거래 추정 시스템 구축 검토

 

목표 개선 내용 비고
수요예측 내실화 증권신고서 제출 전 기관대상 투자수요 조사 공모가 뻥튀기 방지에 도움이 될 듯
수요예측 기간 연장 의미 있나?
보통 2일차 오후에 집중됨
허수성 청약 방지 주관사 자율로 기관별 주금납입능력 판단기준 설정
허수성 청약시 배저물량 축소 등 패널티 부여
공모가 미기재 기관에 공모주 미배정
현재도 하고 있는 내용
공모주 주가 안정 시초가: 공모가의 60%~400% 공모 투자자 입장에서 과연 좋은 것인지?
IPO Tracking System 도입 검토 구축 가능할까?
기관참여 저조로 인한 IPO 시장 위축 우려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IPO 건전성 제고방안 주요 내용

 

 

 

공모가 가격제한폭 60~400%

 

6월 26일 부터 바뀌는 부분은 우선 신규상장되는 종목의 시초가입니다. 시초가(기준가)는 공모가 그대로 결정이 됩니다. 그리고 가격 제한 폭이 공모가의 60%~400%로 확대되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공모가가 1만 원인 종목이 상장하는 날 시초가는 그대로 1만 원에서 시작하여 따따블을 기록하면 공모가의 400% 상승으로 4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즉 상장당일 상한가는 400% 상승인 4만 원이 됩니다. 따따블이란 영어 'double double' (따블따블)에서 가져온 말로 시초가 100%에서 더블이면 200%, 거기에 또 더블이면 400%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공모주가 상장당일 무조건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 시초가보다 떨어진 마이너스로 장을 마감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공모가의 60%로 하한가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1만 원의 공모가에서 하한가로 장을 마감하면 6천 원이니 약 4천 원의 손해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상장 당일 가격 변동폭 예시: 가격제한폭: 60~400%

  • 공모가: 20,000원
  • 시초가: 20,000원
  • 하한가: 12,000원
  • 상한가(따따블): 80,000원 (따따블이란: 4배(400%)의 수익률을 말함)
728x90